전도서4장,모순된 세상에서 어떻게 살아야하나? 나는 세상의 모든 학대와 슬픔을 보았다. 학대 받는 자가 눈물을 흘려도 위로하는 자가 없으며, 학대하는 자에게는 권세가 있다. 그래서 나는 이미 죽은 자가 살아 있는 자보다 더 행복하다고 선언하였다. 그러나 이보다 더 행복한 사람은 아직 태어나지 않아 이 세상의 악을 보지 않은 자.. 구약/전도서(구속사) 2015.04.01
전도서3:12~22,나의 관점에서 하나님의 관점으로 하나님이 인도하시는 방법에 대한 두 가지 형태입니다. 하나는 우리가 처한 환경을 통한 섭리적 인도와 또 다른 하나는 본인 스스로 하나님 말씀을 깨닫고 의식적으로 따라가는 인도가 있습니다. 예를 들면 우리는 이런 이야기를 많이 듣곤합니다. 지난 세월을 돌이켜 보니까 그때 그 순.. 구약/전도서(구속사) 2015.04.01
전도서3장1~11,한계(때)를 아는 삶 그러나 여기서 끝나지 않고 전도자는 극적인 전환점을 맞이하게 됩니다. 3장부터 유명한 구절이 나오지요? ‘만사에 다 때가 있다’는 말입니다. 이 부분에서 시작해서 11절까지 계속 때에 대한 이야기가 나옵니다. 이 생각이 새로운 의미를 갖게해 줍니다. 전도자가 좌절한 근본 이유는 .. 구약/전도서(구속사) 2015.04.01
전도서2장,바람을 잡으려고 지혜를 써서 연구하는 방법에는 한계가 있으니 이제 실제적으로 몸으로 부딪히면서 삶을 경험해 봐서 내 인생의 참 즐거움을 줄만한 것이 있는가를 찾기 위해 새로운 방법 즉, 경험적 방법을 사용하기 시작하는 것이 2장 1절부터의 내용입니다. 한계에 다다른 이성으로서의 방법은 포기.. 구약/전도서(구속사) 2015.04.01
전도서1장,인생은 과연 헛된 것인가? 전도서( Ecclesiastes) 전도서라고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게 무엇입니까? ‘헛되고 헛되니 모든 것이 헛되도다’ 이 말이 제일 기억에 남지 않습니까? 그러면 사실 허무한 감이 듭니다. 분명히 하나님이 지으신 세계는 아름답고 인생은 의미가 있다는데 계속 허무하다는 이야기가 나오니 .. 구약/전도서(구속사) 2015.04.01
느혜미야서13장,언약적 삶의 실제적 적용 언약적 삶의 실제적 적용 (13장) (1) 에스라가 먼저 시행했던 것을 더 본격적으로 추진하였다. 그것은 하나님 나라의 씨의 순수함이었다. 에스라서에는 단순한 이방인으로 표현되었으나 여기서는 구체적으로 암몬사람과 모압사람을 언급한다. 그 사실을 하나님 나라 역사에서 오래 전에 .. 구약/느헤미야서 2015.03.30
사사기의 현대적적용 (1) 세상과 타협하는 세속화(secularization)의 문제이다. 하나님은 그의 백성들에게 결코 현지인과 평화언약을 도모하지 말고, 상호관계나 혼인을 하지 말도록 금지시켰다. 그러나, 이러한 대치관계가 가져오는 현실적인 어려움 때문에 그들은 하나님의 명령보다 현실과의 타협을 선택하였.. 구약/사사기(구속사) 2015.03.30
6. 신명기30:11-20 : 모압언약의 축복과 저주 6. 신명기30:11-20 : 모압언약의 축복과 저주 이 본문은 큰 단락인 29-30장에서 마지막에 위치하면서 마지막 결론적 권면을 두 부분으로 나누어서 하고 있다 : (1) 30:11-14 : 심히 가까운 말씀 (2) 30:15-20 : 축복과 저주의 선택 먼저 이스라엘이 하나님과 맺은 언약·q안된다. 무엇보다도 이 법을 가.. 구약/신명기 2015.03.30
5. 신명기30:1-10 : 모압언약의 회복 5. 신명기30:1-10 : 모압언약의 회복 이 단락의 내용은 언약공동체의 역사가 아주 부정적으로 진행되어서 이스라엘이 포로로 끌려갔을 경우를 전제로 하고 선포한 내용의 멧세지이다. 이것은 이전 단락인 29:22-28의 내용을 이어가는 것으로 장구하고 먼 미래에 일어날 일에 대한 선포인 것이.. 구약/신명기 2015.03.30
5. 신명기29:10-21 : 모압언약의 현재와 미래 역사의식에 충만한 신명기는 이 본문에서 가장 구체적인 역사의식의 포괄과 충만을 보인다. 첫 번 단락인 29:10-13에서 현 시대에 사는 모든 언약공동체의 일원이 다 포괄되었다 : “두령, 지파, 장로, 유사, 남자, 유아들, 아내들”. 아이들과 아내들이 별도로 언급된 것이 특이하다. 거기에.. 구약/신명기 2015.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