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신명기 29:2-9 : 광야여행의 교훈 4.신명기 29:2-9 : 광야여행 역사의 교훈 여기서 과거의 세 가지 역사를 시간의 흐름을 따라서 정리한다 : (1) 29:2-4 : 출애굽 (2) 29:5-6 : 광야여행 (3) 29:7-9 : 요단동편의 두 왕과의 전쟁의 승리와 땅 분배 이것은 진정으로 이스라엘이 직전에 경험하였던 “하나님의 큰 일”(Magnalia Dei)을 체계적.. 구약/신명기 2015.03.30
3,신명기29:10~22,언약의 현재성 3. 현재 - 미래 - 먼 미래 (‘오늘날’ 29:10 / ‘너희에게만 아니라’ 29:14 / ‘너희 뒤에 일어나는 너희 자손’ 29:22) 여기서 특이한 것은 소위 ‘역사의 현재화’(Vergegenwaertigung, actualization)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필자가 이미 언급한 것과 같이 백성의 소집을 다루는 5:1-5과 유사하다.. 구약/신명기 2015.03.30
2. 신명기 29:1,모압언약의 시작 2. 신 29:1 일반적으로 신 29:1(MT 28:69)에서 말하는 ‘모압언약이 이러하니라’의 ‘이(러하다)’라는 지시사의 의미가 무엇인가를 의미하는가에 대해서 두 가지 견해가 있음을 필자는 이미 밝혔다. 첫째는 뒤에 나올 내용을 가리킨다는 것이고, 둘째는 앞에 있는 내용을 가리킨다는 견해이.. 구약/신명기 2015.03.30
신명기29장,언약적저주 이스라엘의 전적인 실패에 대한 전망은 신명기의 상황적 구조를 형성하는 신 29-30장에도 명확하게 나타날 뿐 아니라 더 구체적이다. 우선 이스라엘이 언약에 충성하지 못할 경우에 경험하게 될 여호와의 분노와 질투의 불을 생생하게 그려내는 29:20-21의 내용이 그러하다. 이것은 물론 ‘.. 구약/신명기 2015.03.30
희년(레25:8-34) 희년(레25:8-34) 성경에서 '희년' 개념은 레위기 25장 8-34절에 근거한 것으로, 일곱 안식년 후 즉 49년 후 첫 번 째, 즉 50년째가 되는 해를 가리켜 말한다. 희년(禧年)은 히브리어로 요벨( )인데, 이는 '양각(羊角) 나팔'(a ram's horn)을 뜻한다(출 19.13; 수 6.5; 레 25장; 27.18, 23-24; 민 36.4). 여호수아 6.. 구약/레위기 2015.03.30
15. 요셉 : 훈련으로 이루어가는 하나님 나라 15. 요셉 : 훈련으로 이루어가는 하나님 나라 요셉의 모습은 선조들의 그것과 유사하지만 다른 차원을 가지고 있다. 아버지 야곱의 역동성은 그가 11번째라도 아버지의 사랑을 받은 것과 결국에는 이스라엘 전체가 애굽에서 정착하여 민족으로 성장하는 것을 준비하는 장자로서의 사명을 .. 구약/창세기(구속사) 2015.03.30
14. 야곱 : 징계로 이루어가는 하나님 나라 14. 야곱 : 징계로 이루어가는 하나님 나라 야곱의 경우는 처음부터 아버지와 달랐다. 아들이 없어서가 문제가 아니라 아들이 둘이나 되어서 문제가 되는 경우속에 태어난 아들이었다. 첫째가 둘째를 섬기리라는 하나님의 이상한 예언은 둘째를 사랑하는 어머니의 마음속에 있었고 또 그.. 구약/창세기(구속사) 2015.03.30
13. 이삭 : 소극적으로 이루어가는 하나님 나라 13. 이삭 : 소극적으로 이루어가는 하나님 나라 이삭을 통한 하나님 나라의 역사는 수동적이다. 그가 태어나서부터 이스마엘에게 놀림을 당하나 그 때문에 부모의 보호 본능이 자극되었다. 그 결과 이스마엘이라는 어려운 요소가 자연스럽게 자신의 노력이 없이도 정리되었다. 그가 청년.. 구약/창세기(구속사) 2015.03.30
12,하나님나라의 위기 12,하나님나라의 위기 아브라함의 생애는 '내게 네게 지시할 땅으로 가라'(12:1)라는 출발에서 '내가 네게 지시하는 한 산'으로 가라(22:2)라는 수행하기 가장 어려운 하나님의 명령으로 요약된다. 이제 아브라함은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가장 어려운 시련의 시기를 맞게 되었다. 이삭은 단순.. 구약/창세기(구속사) 2015.03.30
11. 아브라함 언약 (창 15, 17) 11. 아브라함 언약 (창 15, 17) 복수전을 감행하는 고대의 관습을 알기에 두려움에 처해있는 아브라함을 하나님은 찾아오셔서 하나님 자신이 방패요 그 전쟁으로 실제적으로는 아무 것도 얻지 못한 그에게 하나님 자신이 바로 상급임을 선언하신다 (15:1). 이 선언에 대하여 아브라함은 처음.. 구약/창세기(구속사) 2015.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