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태복음 1:1-17, 구속사의 전모 마 1:1-17 본문은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을 다루는 세 가지 내용가운데 첫째이다 (1:1-17 역사적인 측면; 1:18-25 가정적인 측면; 2:1-23 사회적인 측면). 본문에서 첫 절은 예수 그리스도를 다윗의 아들이며 아브라함의 아들이라고 소개한 후에 (1:1), 역순으로 먼저 아브라함의 계보를 진술하고 (1:.. 신약/마태복음 2015.05.04
마태복음12:38~45,표적만 구하는 세대 표적보다 신의(神意)(12:38~45) (1)표적을 구하는 악한세대(12:38~45) 일부 서기관들과 바리새인들이 예수님에게 표적을 보여 달라는 요청을 했다.8장.9장 12장등을 보면 이미 예수님이 행하신 표적들이 많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표적을 구했다. 그 많은 표적들을 보고 들은 후에도 표적.. 신약/마태복음 2015.05.04
마태복음12:22~37,성령 훼방죄 축사(逐邪)논쟁(12:22~37) 예수님은 유대인들과 안식일 문제로 논쟁하셨지만, 귀신을 쫓아내신 축사사건과 관련해서도 논쟁을 하셨다. 논쟁이라고 해야 유대인들과 예수님이 일문일답 형식으로 주고받는 방식이 아니라 유대인들은 질문이나 생각으로 문제를 제기하고 예수님이 답변하시.. 신약/마태복음 2015.05.04
마태복음12:14~21,자기를 나타내지 말라 예수님의 경계(12:14~21) 바리새인들은 안식일 논쟁에서 예수님을 논리적으로 반박할 능력이 없었지만 예수님이 자기들의 기존관념에 도전했다는 이유로 "어떻게 하여 예수를 죽일꼬"하는 의논을 했다(12:14).자신들의 기존관념이 논박할 수 없는 원리에 의해 도전을 받을 경우 그 기존관념.. 신약/마태복음 2015.05.04
마태복음12:9~13,네 손을 내밀라 손 마른 자 치유사건(12:9~13) 위의 사건은 제자들이 안식일에 밀 이삭을 잘라먹은 후에 바리새인들의 항변에 대해 예수님이 답변하신 사건이지만 본문의 사건은 예수님이 안식일에 손 마른 사람을 고치기 전에 “안식일에 병 고치는 것이 옳으니이까?”하는 질문에 대해 예수님이 답변하.. 신약/마태복음 2015.05.04
마태복음12: 1~8,안식일의 주인 밀 이삭사건 (12: 1~8) 예수님께서 안식일에 제자들과 함께 밀밭을 지나가시는데 제자들이 시장하여 밀 이삭을 잘라먹은 것을 두고 바리새인들이 "안식일에 하지 못할 일"을 한다고 항의하였다. 이것이 안식일 논쟁의 계기이다. 예수님은 바리새인들의 이런 항변에 대해서 우선 두 가지를 .. 신약/마태복음 2015.05.04
마태복음11:25~30,복음의 수용 메시아의 초청에 응하는 올바른 반응(11:25~30) 세례 요한은 메시아의 정체성에 대해서 일시적으로 실족하였고 당시 다수의 유대인들은 냉담한 반응을 보였으며 갈릴리 도시 사람들은 많은 권능을 보고도 교만과 불회개의 반응을 보였다. 예수님은 성부의 뜻, 곧 성부께서 은닉할 자들에게.. 신약/마태복음 2015.05.04
마태복음11:20~24,기적을 보고도 갈릴리에 대한 심판 (11:20~24;눅 10:13~15) 예수님은 “권능을 가장 많이 행하신 고을들이 회개”하지 아니함으로 신랄한 책망을 하셨다(11:20). 고라신과 벳세다에 대해서는 “화 있을진저”라고 책망하셨고 가버나움에 대해서는 “네가 하늘에까지 높아지겠느냐 음부에까지 낮아지리라”고.. 신약/마태복음 2015.05.04
마태복음11:16~19,냉담 장터의 아이들 비유 (11:16~19) 예수님은 당시 장터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아이들의 피리 불며 춤추는 결혼놀이와 애곡하는장례 놀이를 통해서 천국을 침노하여 빼앗지 않는 당시 사람들의 냉담한 반응을 지적하셨다.장터의 아이들 사이에 서로자 기들 마음대로 놀려고 하는 고집이 있는 것.. 신약/마태복음 2015.05.04
마태복음11:2~15,의심 11장은 예수님을 메시아로 수용하지 않은 반응이다. 12장의 반응은 적대의 반응이다. 세례요한의 질문과 예수님의 답변(11:2~15) 세례 요한은 메시아의 전령(3:1~12)으로 예수님께 세례까지 베풀었던 인물(3:13~17)인데, 감옥에 있으면서 예수님께서 하신일(8~9장)을 들은 후에 자기 제자들을 통.. 신약/마태복음 2015.0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