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태복음2장,메시야의 오심과 다시오심 예수께서 메시아로 오셨을 때, 그를 알아본 사람들은 극히 소수였다. 사도 요한은 “그가 자기 땅에 오셨으나, 그의 백성은 그를 맞아들이지 않았다”고 말한다(새번역, 요 1:11). 정작 메시아에 대한 예언이 전혀 없이 살고 있던 동방의 박사들은 하늘에 새롭게 뜬 별을 보고 ‘장차 유대.. 신약/마태복음 2015.04.28
에베소서 5:21-33,그리스도 안에서 회복된 가정 그리스도 안에서 회복된 가정(엡 5:21-33) 본 장은 헬라시대와 로마시대에 널리 사용된 "가정 운영"(oikonomia)에 대한, 규범에 대한 ,기독교적 대안을 제시해 주고 있다. 이 당시 모든 사회의 가정 규칙들은 부부와 부자와 주종 사이의 질서를 다룬다. 이런 가정 운영 규칙은 동양사회에서도 같.. 신약/에베소서 2015.04.28
사도행전9장,땅끝까지 9장부터 28장까지는 로마로 상징되는 땅 끝까지 나아가는 사도들의 선교 장면이 기록되어 있다. 그 가운데 9장부터 12장까지는 특별히 베드로의 선교 사역이 소개되고 있는데, 그 중 주목할만한 것은 바로 가이사랴에 주둔하고 있는 로마 백부장 고넬료와의 만남이었다(10장). 우선, 이 사.. 신약/사도행전 2015.03.30
사도행전8장,사마리아와 땅끝까지 8장에서는 스데반의 순교 이후 발생한 예루살렘 교회에 대한 핍박으로 인해 흩어진 유대 기독교인들, 특히 전도자 빌립에 의한 사마리아에서의 선교와 구스 내시에 대한 전도 장면이 나타나고 있다. 여기서 우리가 한 가지 주목해볼 필요가 있는 부분이 있다. 사도들과 예루살렘 교회는 .. 신약/사도행전 2015.03.30
사도행전 1장 8절,그리스도의 지상명령 사도행전 1장 8절은, 누가복음 4장 18절과 마찬가지로, 사도행전의 전개과정을 예시해주는 프로그램적 요약 구절로 알려져 있다. 여기서 제시되고 있는 복음전파, 즉 선교의 프로그램은 예루살렘(1-7장) → 온 유대와 사마리아(8장) → 땅 끝, 즉 로마(9-28장)까지 이르는 세 단계의 과정으로 .. 신약/사도행전 2015.03.30
사도행전의 이방선교 베드로의 고넬료와의 만남은 복음전파와 기독교회의 발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전기(轉機)가 되었다. 이전까지 사실 베드로는 이방인과의 접촉조차 꺼려했던 전형적인 유대인이었다. 그리하여 비몽사몽(非夢似夢) 간에 나타난 환상을 통하여 하나님이 잡아먹으라고 명한 짐승들을 '속.. 신약/사도행전 2015.03.30
누가복음의 이방선교 첫째로, 성전에서 아기 예수를 만난 선지자 시므온이 고대하던 메시야 아기 예수님을 만났을 때 노래한 찬송시(詩) 가운데에서, 주의 구원이 만민 앞에(παντων των λαων) 예비된 것으로, 그리고 이방(εθνων)을 비 추는 빛으로 소개되고 있음을 보게 된다(눅 2.31-32). 둘.. 신약/누가복음 2015.03.30
양과 염소 비유(마태복음25:31-46) 3.3. 마지막 심판의 기준 (25:31-46) 24:36로부터 시작된 마지막 때에 관한 주제의 절정을 제공하는 양과 염소 비유(25:31-46)는 구분의 최종성을 강조한다(32-33절; 참조. 13장의 비유들; 24:38). 의인과 악인이 섞여 있는 상태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양은 구약에서 자주 하나님의 백성.. 신약/마태복음 2015.03.25
달란트 비유(마태복음25:14-30) 3.2. 마지막 때를 위한 준비 (25:14-30) 위의 네 비유들에 뒤이어 나타나는 달란트 비유(25:14-30)에서도 준비성의 주제는 계속되고 있다. 하지만 이 비유는 '준비함'이 무엇인지의 구체적인 모습을 묘사해 준다. 그것은 단순히 수동적으로 기다리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그것은 오히려 주인이.. 신약/마태복음 2015.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