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린도후서8장,성도의 두가지 삶 교제와 봉사(고후 8:4) 오순절 사건으로 인해 초대 교회는 한마디로 교제하고 봉사하는 교회였다. 누가는 이 교회가 교제하고(행 2:42) 봉사하는(행 2:44-45) 교회였음을 잘 보여주고 있다. 사실, 거듭난 크리스천의 삶을 한 마디로 표현하면 교제와 봉사라고 할 수 있다. 바울은 고린도후서에.. 신약/고린도후서 2015.06.11
고린도후서 5:1-5,종말론적 성도의 두가지 자세 종말론적 신앙을 잃어버린 신앙은 세속화되기 쉽다. 이러한 신앙 행태는 비단 우리 시대에만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바울 시대에도 지나치게 타계적이 되어 건전한 노동의 가치까지도 부정하는데까지 이른 무리도 있었고(살후 3:6-12), 종말론적인 신앙을 잃어버려 세속화내지는 비윤리적.. 신약/고린도후서 2015.06.11
고린도후서 4:16-5:10,종말론적인 삶 고린도후서 4:16-5:10은 신자가 어떻게 종말론적 삶을 살아야 하는가. 종말을 사는 기본적인 태도는 낙심하지 않는 것이라는 것이다. 바울은 신자가 낙심하지 않아야 하는 이유를 몇 가지 대조 문구를 통해서 설명한다. 첫째, 육체를 가진 “것 사람”은 점점 쇠해 지지만, 크리스천의 본질.. 신약/고린도후서 2015.06.11
고린도후서1장,성령의 보증 성령의 보증:22절 1. 구원의 확신과 성령 구원을 받았다는 확신을 바울은 모든 신자가 현재에 경험하는 성령 체험에서 찾는다. 하나님은 성령의 인치심과 보증에 의해 신자로 하여금 현재에 구원의 확신을 갖게 한다는 것이다. 바울은 그리스도인이 될 때 모든 사람은 성령을 받게 되고(롬.. 신약/고린도후서 2015.06.11
고린도전서15장,파루시아와 에스카톤 고린도전서 15장의 중심 이슈는 ‘종말 때의 신자들의 상태’이다. 어떤 사람들이 ‘죽은 자의 부활이 없다’고 생각했다(15:12). 즉 신자들이 마지막 때에 부활하는 일이 없을 것이라는 주장이었다. ① 성경대로 그리스도께서 우리 죄를 위하여 죽으셨다. ② 장사지낸바 되었다. (= 무덤에 .. 신약/고린도전서 2015.06.11
고린도전서14장,영적질서 바울은 은사를 사모할 것을 권했다(고전 12:31, 14:1). 그러나 은사를 구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원칙은 사랑이다. 은사를 구하는 것은 사랑이 되어야 한다(14:1). 사랑하기 위해서 은사를 구해야 한다. 무엇보다 사랑 자체를 은사로 사모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다른 은사들도 사랑을 위해 .. 신약/고린도전서 2015.06.11
고린도전서13장,가장 큰 은사 사랑은 하나님의 품성이며 우리 그리스도인의 가장 큰 계명이다. 그런데 여기서는 사랑이 교회를 세우는 은사로 제시되고 있다. ‘신령한 것’을 역설하는 고린도 교인들에게 가장 신령한 것이 무엇인지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가장 신령한 것은 다름 아닌 사랑이다. 사랑은 그리스도.. 신약/고린도전서 2015.06.10
고린도전서12장,그리스도의 몸 그리스도의 몸 “신령한 것”으로 번역된 ‘뉴마티코스’(pneumatikos)는 ‘영적인 것’ 또는 ‘영적인 사람’이라는 뜻이다. 일부 고린도 교인들은 자신들이 ‘신령한(성령의) 사람들’이라고 생각하여 ‘신령한(성령의) 것들’을 추구했다. 물론 자신들을 이렇게 부를 때는 그렇지 못한 .. 신약/고린도전서 2015.06.10
고린도전서11장,성찬과 새언약 성찬 초기 교회는 오늘날의 주일(主日)인 안식 후 첫날에 모임을 가졌다(행 20:7, 고전 16:2). 별도의 교회 건물을 갖고 있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대개 부유하여 큰 집을 갖고 있는 교인의 집에서 모였을 것이다. 식당인 ‘트리클리니움’(triclinium)은 일반적으로 많아야 9명 정도를 수용.. 신약/고린도전서 2015.06.10
고린도전서10장,우상숭배의 위험 우상숭배의 위험 우리가 그리스도를 구원의 세례를 받고 그분이 공급하는 성찬의 은혜를 입듯이 구약의 이스라엘 백성들도 모세를 통해 홍해를 건너 출애굽을 하고 만나를 먹고 반석의 물을 마셨다. 그러나 이들은 우상숭배를 하다가 멸망을 했다. 그리스도인인 우리도 이런 일을 보고 .. 신약/고린도전서 2015.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