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린도전서9장,절제 나 바울은 사도이다. 특히 고린도 교인들에게는 분명히 사도이다(1-2절). 사도들에게는 말씀의 대가로서 사례를 받아 그것으로 살아갈 권리가 있다. 나 바울에게도 그런 권리가 있다(4-11절, 13-14절). 그러나 나 바울은 복음을 위하여 그 권리를 사용하지 않는다(12절). 자비량 사역의 이유(15-.. 신약/고린도전서 2015.06.09
고린도전서8장,그리스도인의 자유 그리스도인의 자유 그레코-로만 문화권에서는, 이교도 신전에서 신에게 희생제사를 드린 사람이 종종 가족과 친구들을 초대해 제사를 지낸 고기들을 같이 먹기 위한 잔치 자리를 마련한다. 그러한 잔치는 그 신의 신전에서 열렸다(참조, 8:10). 어떤 면에서 보자면 그러한 사교(社交)적인 .. 신약/고린도전서 2015.06.09
고린도전서7장,성도의 결혼관 “너희의 쓴 말”(7:1a)이란 그들이 보낸 편지에 담겨있던 내용을 가리킨다. 그들이 남녀간의 관계에 대해 질문을 해왔던 것으로 보인다. 저들의 주장: ‘남자가 여자를 가까이 하지 않는 것이 좋다’. 바울: 홀로 있으면 음행하기 쉽다. (구설수에도 쉽게 말린다). 결혼하라. (남녀가 결합.. 신약/고린도전서 2015.06.09
고린도전서6장,교회의 분쟁 고린도 교인들 사이에 금전상의 문제가 있었다. 이 문제를 세상 법정으로 가져갔던 모양이다. 바울은 이에 대해 분개한다. 신자들은 주의 재림 후 그리스도와 함께 온 세상을 심판하는 재판장의 위치에 서게 될 존재들이다(3절). 그런데 신앙도 없는 세상 재판관들에게 교회 내의 분쟁을 .. 신약/고린도전서 2015.06.09
고린도전서5장,교회의 순결 바울은 저들의 교만에 대비되는 사도의 고난을 열거함으로써 저들이 부끄러움을 느끼게 만들었다. 그리고 하나님의 나라가 말에 있지 않고 능력에 있음을 분명하게 천명했다. 이제 바울은 그렇게 잘났다고 하는 사람들의 영적 상태와 행실을 조명함으로써 그들의 실상이 무엇인지 확인.. 신약/고린도전서 2015.06.09
고린도전서4장,일꾼의 자세 일꾼의 자세 고린도 교인들은 분란 속에서 서로를 판단하고 있었다. 그런 와중에 바울에 대한 부정적 비판들이 있었다(9:3). 바울의 사도성을 의심하는 사람들이 있었다(고전 9:2, 고후 11:5). 언변이 좋지 못하고 용모가 신통치 않다는 비난도 받았다(고후 10:10). 고린도 교인들에게서 사례비.. 신약/고린도전서 2015.06.09
고린도전서3장,교회의 지도자들에게 교회의 지도자들에게 어린아이는 긍정적 메타포로 쓰일 때도 있고 부정적인 메타포롤 쓰일 때도 있다. 여기서는 부정적이다. 어떻게 부정적인가? 아직 잘 모르면서 자신들의 세계에 갇혀 다 아는 것처럼 느끼는 상태에 있는 것이 어린아이들이다. 고린도 교인들은 자신의 신분이 영에 속.. 신약/고린도전서 2015.06.09
고린도전서 2장,성령의 감동으로 바울의 고린도 전도(2:1-5) (1) 대 사도 바울이 복음을 전할 때 심약하여 두려워하고 떨었다니... 바울에게 말의 지혜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 그는 많이 공부한 학자였으며 열정 가득한 웅변가이기도 했다. 희랍의 철학자들에게 말장이라는 말을 들을 정도였다(행 17:18). 그를 고소하기 위해 .. 신약/고린도전서 2015.06.08
고린도전서1:18~31 십자가에 달리신 그리스도 십자가에 달리신 그리스도 I 십자가의 도(ho logos 십자가의 말씀)는 양면성을 갖는다. 한쪽에서 볼 때는 형편없는 미련이며 터무니없는 무식이다. 그러나 또 한편에서는 십자가의 도가 ‘구원을 가져다주는 하나님의 능력’이다. 이것은 당시의 유대인들과 이방인들에게 공히 마찬가지였.. 신약/고린도전서 2015.06.08
고린도전서1:1~17,고린도교회의 시작 고린도교회의 시작 고린도는 "부촌"으로 불리었다. 해협에 위치하여 두 항구의 주인이 되었기 때문이다. 하나는 아시아로 향했고 또 하나는 이탈리아로 향해 놓여있었다. 이로 인해 그렇게 멀리 떨어져있는 두 나라 사이의 상품 교환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었다... 이탈리아와 아시아 양쪽.. 신약/고린도전서 2015.0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