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서11:1-10 ,변함없는 하나님의 사랑 롬11:1-10 1. 서 론 구원은 하나님의 전적인 주권적인 의지의 결과로 주어지는 것인데, 우리가 어떠한 행위를 함으로서나 우리가 원하여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선택의 결과로 주어진다는 것입니다. 만일 우리가 구원을 받지 못하고 정죄의 상태에 있다면 그것은 우리의 책임입니.. 신약/로마서연구 2015.01.26
로마서10:18-21 ,이스라엘의 불순종과 이방인구원 롬10:18-21 10장 18~21절 : 그러나 내가 말하노니 저희가 듣지 아니하였느뇨. 그렇지 아니하다 그 소리가 온 땅에 퍼졌고 그 말씀이 땅 끝까지 이르렀도다. 하였느니라. 그러나 내가 말하노니 이스라엘이 알지 못하였느뇨. 먼저 모세가 이르되 내가 백성 아닌 자로서 너희를 시기 나게 하며 미.. 신약/로마서연구 2015.01.26
로마서10:14-17 ,하나님의 구원하시는 방식 롬10:14-17 10장 14~17절 : 그런즉 저희가 믿지 아니하는 이를 어찌 부르리요 듣지도 못한 이를 어찌 믿으리요 전파하는 자가 없이 어찌 들으리요 보내심을 받지 아니하였으면 어찌 전파하리요 기록된바 아름답도다. 좋은 소식을 전하는 자들의 발이여 함과 같으니라. 그러나 저희가 다 복음.. 신약/로마서연구 2015.01.26
로마서10:11-13 ,복음의 진수 롬10:11-13 10장 11~13절 : 성경에 이르되 누구든지 저를 믿는 자는 부끄러움을 당하지 아니하리라 하니 유대인이나 헬라인이나 차별이 없음이라 한 주께서 모든 사람의 주가 되사 저를 부르는 모든 사람에게 부요하시도다 누구든지 주의 이름을 부르는 자는 구원을 얻으리라. 1. 복음의 진수(.. 신약/로마서연구 2015.01.26
로마서10:5-10 ,하나님의 구원계획 롬10:5-10 1. 하나님의 분명한 요구 유대인들은 분명히 하나님의 목적의 일환으로 존재하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이방인들은 복음을 크게 환영하면서 받아들이는데도 불구하고 유대인들은 복음을 거부하고 있었습니다. 언뜻 보면 하나님의 목적이 실패한 것처럼 보이지만, 유대인들의 불신.. 신약/로마서연구 2015.01.26
로마서10:1-4 ,바른믿음 롬10:1-4 10장 1~4절 : 형제들아 내 마음에 원하는 바와 하나님께 구하는 바는 이스라엘을 위함이니 곧 저희로 구원을 얻게 함이라 내가 증거하노니 저희가 하나님께 열심이 있으나 지식을 좇는 것이라. 3-하나님의 의를 모르고 자기 의를 세우려고 힘써 하나님의 의를 복종치 아니하였느니.. 신약/로마서연구 2015.01.26
로마서9:25-33 ,이방구원 롬9:25-33 1. 이방인들을 받아들일 것이 예언됨(25~26) 구원은 유대인들에게만 국한 된 것이 아니며, 아브라함과 이삭과 야곱의 육신적인 자녀라 할지라도 그 사실 자체가 그들을 자동적으로 구원하지 못합니다. 우리의 출생이 어떠하며, 우리가 어떤 민족에 속해 있으며, 또한 어떤 조건이라.. 신약/로마서연구 2015.01.26
로마서9:14-24 ,제한속죄 롬9:14-24 1. 두 가지 반론과 그에 대한 답변(14~18) 하나님께서 어떤 사람들에게는 긍휼을 베푸시기로 작정하시고 또 다른 사람들에게는 긍휼을 베푸실 작정을 하시지 않으신다고 합니다. 오히려 그는 그들을 미워하십니다. “내가 야곱은 사랑하고 에서는 미워하였다.” 그들이 태어나기 .. 신약/로마서연구 2015.01.26
로마서9:6-13 ,약속의 자녀가 누릴 축복 롬9:6-13 1. 반론(6~7) 1~5절까지는 주제를 소개한 것이라고 할 수 있고, 이제 바울은 여기서 실제로 자기와 자기 가르침에 대항하여 제기된 반론을 다루고 있습니다. 언뜻 보면 하나님께서 당신의 백성들을 포기하시고, 당신이 그 백성들에게 하신 약속을 저버리는 것처럼 보이기도 하며, 하.. 신약/로마서연구 2015.01.26
로마서9:1-5 ,바울의 소원 롬9:1-5 1. 고뇌에 대한 엄숙한 표현(1~3) “내가 그리스도 안에서 참말을 하고....... ① 바울은 본문에서 매우 심각하고 매우 엄숙한 진술을 하고 있음을 그들이 인식하기를 간절히 소원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② “그리스도 안에서”라는 말씀에서 알 수 있듯이, 그리스도의 임재 .. 신약/로마서연구 2015.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