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린도전서5장,교회의 순결 바울은 저들의 교만에 대비되는 사도의 고난을 열거함으로써 저들이 부끄러움을 느끼게 만들었다. 그리고 하나님의 나라가 말에 있지 않고 능력에 있음을 분명하게 천명했다. 이제 바울은 그렇게 잘났다고 하는 사람들의 영적 상태와 행실을 조명함으로써 그들의 실상이 무엇인지 확인.. 신약/고린도전서 2015.06.09
고린도전서4장,일꾼의 자세 일꾼의 자세 고린도 교인들은 분란 속에서 서로를 판단하고 있었다. 그런 와중에 바울에 대한 부정적 비판들이 있었다(9:3). 바울의 사도성을 의심하는 사람들이 있었다(고전 9:2, 고후 11:5). 언변이 좋지 못하고 용모가 신통치 않다는 비난도 받았다(고후 10:10). 고린도 교인들에게서 사례비.. 신약/고린도전서 2015.06.09
고린도전서3장,교회의 지도자들에게 교회의 지도자들에게 어린아이는 긍정적 메타포로 쓰일 때도 있고 부정적인 메타포롤 쓰일 때도 있다. 여기서는 부정적이다. 어떻게 부정적인가? 아직 잘 모르면서 자신들의 세계에 갇혀 다 아는 것처럼 느끼는 상태에 있는 것이 어린아이들이다. 고린도 교인들은 자신의 신분이 영에 속.. 신약/고린도전서 2015.06.09
고린도전서 2장,성령의 감동으로 바울의 고린도 전도(2:1-5) (1) 대 사도 바울이 복음을 전할 때 심약하여 두려워하고 떨었다니... 바울에게 말의 지혜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 그는 많이 공부한 학자였으며 열정 가득한 웅변가이기도 했다. 희랍의 철학자들에게 말장이라는 말을 들을 정도였다(행 17:18). 그를 고소하기 위해 .. 신약/고린도전서 2015.06.08
고린도전서1:18~31 십자가에 달리신 그리스도 십자가에 달리신 그리스도 I 십자가의 도(ho logos 십자가의 말씀)는 양면성을 갖는다. 한쪽에서 볼 때는 형편없는 미련이며 터무니없는 무식이다. 그러나 또 한편에서는 십자가의 도가 ‘구원을 가져다주는 하나님의 능력’이다. 이것은 당시의 유대인들과 이방인들에게 공히 마찬가지였.. 신약/고린도전서 2015.06.08
고린도전서1:1~17,고린도교회의 시작 고린도교회의 시작 고린도는 "부촌"으로 불리었다. 해협에 위치하여 두 항구의 주인이 되었기 때문이다. 하나는 아시아로 향했고 또 하나는 이탈리아로 향해 놓여있었다. 이로 인해 그렇게 멀리 떨어져있는 두 나라 사이의 상품 교환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었다... 이탈리아와 아시아 양쪽.. 신약/고린도전서 2015.06.08
사도행전28장,하나님의 구원계획 28:1-2 우리가 구원을 얻은 후에 안 즉 그 섬은 멜리데라 하더라 토인들이 우리에게 특별한 동정을 하여 비가 오고 날이 차매 불을 피워 우리를 다 영접하더라 이들이 도착한 멜리데섬은 지금의 말타섬이며 달마티아 남쪽에 있는 섬이다. 누가는 이 곳 섬 주민들을 토인이라 표현했는데 그 .. 신약/사도행전 2015.06.08
사도행전27장,풍랑속에서 사도행전 27장은 사도 바울이 예루살렘으로부터 로마로 향하는 여행에 관하여 기록하고 있다. 누가 행전의 지리적 구성은 처음에는 예루살렘을 향하다가, 사도행전의 전반부에서는 안디옥과 소아시아와 그리스를 향해서 예루살렘으로부터 멀어진다. 그러나 후반부에서는 다시 예루살렘.. 신약/사도행전 2015.06.08
사도행전26장,파레시아 누가의 핵심은 파레시아(παρρησίᾳ)다. 복음이란 무엇인가?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 그리고 그의 사역 그리고 죽으심 이것들은 역사적 사실이다. 그러나 예수의 부활은 “복음”이다. 복음에 대한 정의가 다 다르겠지만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복음의 핵심은 부활신앙이다. 만약 .. 신약/사도행전 2015.06.08
사도행전25장,복음은 로마로 바울이 유대인들의 위협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었던 것과 또한 베스도가 바울의 상소를 받아들이게 된 것은 바울의 로마 시민권과 로마법으로 볼 때 아무런 죄가 없었기 때문이다. 어쩌면 베스도가 부임한자 얼마 안 되었기 때문에 자신의 입지문제도 생각했을 수도 있고 종교적인 문제.. 신약/사도행전 2015.0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