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강 구약의 하나님이해 제3강 구약의 하나님이해 아비의 죄가 삼 사 대에까지 가는 것의 문제(신 34, 신 24:16) 근본적으로는 원죄의 문제와도 연결되는 것이다. 죄의 전가문제이다. 이것은 구약에는 없고 바울이 만들어 낸 것이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다. 그 대표자가 클라우스 베스터만이다. 그는 구약의 사상에는.. 신학강좌/구약신학 2014.12.11
제2강 구약신학의 과제 제2강 구약신학의 과제 1.현대 구약신학의 동향 J. P. Gabler(1753-1826)는 독일 바트로르프 대학의 교수로 취임하면서 유명한 강연을 했다. 이것이 주요한 기점이 되었는데, 교의신학과 성서신학의 성격과 양 학문의 목표에 대한 분명한 강의를 했다. 그래서 성서신학의 독자적인 분야를 개척.. 신학강좌/구약신학 2014.12.11
제1 강 구약신학의 시작 구약개론 박인대교수 제1강 구약신학의 시작 1. 명칭 고후 3:14에서 구약이라는 말이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η παλαια διαθηκη) 렘 31:31에 “새 언약”(שׁꕈꖎ ת^Ꙟꔶ베리트 하다샤)을 주겠다는 말씀이 있지만 이말이 신약으로 연결되면서 구약이라는 .. 신학강좌/구약신학 2014.12.11
느헤미야서 제24장 - 느헤미야와 에스라의 부흥운동 제24장 - 느헤미야와 에스라의 부흥운동 귀환 초에 스룹바벨이 유다의 총독을 지낸 후 느헤미야가 총독이 되기까지 70년 동안의 사적은 알 길이 없으나 많은 총독들이 있었을 것이고 그들은 백성들에게 토색하며 압제하였던 것은 알 수 있다. 느헤미야는 총독으로서 녹을 받지 않고 성벽 .. 신학강좌/구약의 역사 2014.12.10
(느헤미야1-13) 제23장 -3차귀환 :느헤미야의 성곽 건축 제23장 -3차귀환 :느헤미야의 성곽 건축(느헤미야1-13) 느헤미야는 아닥사스다왕 1세의 궁에서 술 관원이었다. 아닥사스다왕 20년에 동생 하나니로부터 예루살렘에 남아있는 자들이 큰 환란을 당하며 성전은 훼파되고 성문은 타 버렸다는 소식을 듣고 아닥사스다왕의 허가를 받아 예루살렘.. 신학강좌/구약의 역사 2014.12.10
(에스라3장-6장) 제 22 장 - 성전 건축(에스라3-6) 제 22 장 - 성전 건축(에스라3-6) 귀환한 포로들은 조상들의 본성으로 돌아갔으나 기원전 537년 7월에 일제히 예루살렘으로 모여 가장 큰 절기의 달로 1일은 나팔을 불어 기념하는 성회(나팔절)로 10일은 대속죄일이요 15일은 7일 동안 연속으로 지키는 초막절이었다. 모세의 율법에 따라 옛 .. 신학강좌/구약의 역사 2014.12.10
에스라1:1-2:70 제21장 - 유다의 귀환 제21장 - 유다의 귀환 1. 고레스왕(대하36:22, 23, 스1:1-4) - 고레스왕이 기원전 539년 1월 29일 바벨론을 정복한 후 유다의 포로들에게 본토로 귀환하라는 것과 성전을 재건하라는 두 개의 선언을 하였다. 고레스는 무혈전쟁으로 바벨론에 입성했다. 그것은 나보니더스의 말둑신에 대한 불경건.. 신학강좌/구약의 역사 2014.12.10
제20장 - 포로기간 중의 바벨론 제20장 - 포로기간 중의 바벨론 1. 바벨론의 새 왕 나보니더스 - 느부갓네살왕이 죽자 그 아들 에윌므로닥이 왕위에 올랐다. 그는 여호야긴을 감옥에서 내어놓아 지위를 높여 주었다. 왕이 된지 2년 후 궁중 반역을 당하여 피살되고 그의 처남인 '네르갈사레셀'이 왕이 되었다. 그가 죽자 그.. 신학강좌/구약의 역사 2014.12.10
예레미야43:8-44:30 제19장 - 포로된 언약백성 제19장 - 포로된 언약백성 1. 바벨론에 끌려간 유다인들 - 유다인들은 4차에 걸쳐 바벨론에 포로로 잡혀갔다. 1차는 기원전 605에 다니엘등 왕족들과 귀족계급들이었고 2차는 기원전 597년에 여호야긴왕과 일반 백성들과 모든 방백들과 군사들 1만명과 많은 기술자들이었고 3차는 기원전 586.. 신학강좌/구약의 역사 2014.12.10
역대하34-36,열왕기하22-25 제18장 -신흥 바벨론과 유다 왕국의 멸망(640-586 B.C,) 제18장 -신흥 바벨론과 유다 왕국의 멸망(640-586 B.C.,대하34-36, 왕하22-25) - 요시아왕을 계기로 하여 유다왕국은 마지막 시대로 접어들게 되고 앗수르도 앗수바니발왕 이후 점점 나약해졌다. 그때를 이용하여 신흥 바벨론은 새로운 국제질서의 주도권을 잡고 일어나게 되었고 그 세력이 활발.. 신학강좌/구약의 역사 2014.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