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강 신약 석의: 문법-역사적 해석에 기초한 구속사적 해석 5강 신약 석의: 문법-역사적 해석에 기초한 구속사적 해석 개혁주의 성경해석의 장점 혹은 독특성은 철저한 문법-역사적 해석에 기초하여 삼위 하나님의 구원사역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구속사적 해석이라고 할 수 있다. 성경의 유기적 영감은 모든 석의의 기본적인 전제가 되어야 한다. 1... 신학강좌/구약석의 2014.12.12
4강,석의의 실제 4강,석의의 실제 (살전5:16-18) “항상 기뻐하라 쉬지말고 기도하라 범사에 감사하라 이는 그리스도 예수안에서 너희를 향하신 하나님의 뜻이니라” 1단계:역사적배경 바울과 데살로니가교인들과의 관계와 당시의 역사적 상황,지리적,문화적,정치적,종교적,고고학적연구에 매진하라. “데.. 신학강좌/구약석의 2014.12.12
3강,석의방법론 3강,석의방법론 제1단계:역사적배경연구(정치적,종교적,지리적,고고학적) 기록자는 누구인가? 수신자는 누구인가? 기록자와 청중사이의 관계 기록자가 성경을 기록할 때의 장소 어떤 상황속에 이 말씀을 주셨는가? 그 말씀의 목적은 무엇인가? 청중들의 처한 위치와 상황 청중의 문제와 .. 신학강좌/구약석의 2014.12.12
2강,본문탐구 2강,본문탐구 2강에서는 개혁주의적 입장에서 석의를 시도하고자한다. 본문평가가 우선되어야한다. 1.역사적 분석 라브리공동체를 시작한 금세기 최고의 복음주의자였던 Francis Schaeffer 는 “생명의 물“(요7:1-39)에 대한 설교에서 역사적 설명으로 시작한다. 초막절은 유대인들이 출애굽이.. 신학강좌/구약석의 2014.12.12
석의 방법론 석의 방법론 1강,석의란 무엇인가 박인대교수 주석이나 주해는 단어와 문장을 해석하는 것이지만 석의는 사건 전체에 대한 해석을 하는 것이다. 눅24:35절에는 έζηγέομαι(엑세게오마이)로 기록되었다. “두 사람도 길에서 된 일과 예수께서 떡을 떼심으로 자기들에게 .. 신학강좌/구약석의 2014.12.12
제10강 지혜신학(지혜문학)의 다양성과 통일성에 대한 이해 제10강 지혜신학(지혜문학)의 다양성과 통일성에 대한 이해 렘 18:19 “제사장에게서 율법이 지혜로운 자에게서 책략(모략) 이 선지자에게서 말씀(토라와 따바르)이···” 여기에서 구약의 3대 직무에 대한 것이 제시되고 있다. 왕상 4:29~34을 보라 메소포타미아문명과 애굽에도 지혜가 있.. 신학강좌/구약신학 2014.12.11
제9강 시편 제9강 시편 시편의 핵심은 시 1:1(יꙟꚉאַ)의 복있는 사람이다. 즉 행복에 있다. 복(הꗇꙜꔶ)을 받아서 누리는 상태가 행복이다. 시편은 모든 장르에 대해서 행복한 삶의 응답이다. 행복한 삶의 구체화된 것이 찬양과 탄원(기도)이다. 시편은 하나의 통일성을 .. 신학강좌/구약신학 2014.12.11
제8강 예언서 제8강 예언서 여호수아 1장(약속), 21장 43-45절(성취), 겔 18장 21-32(예언자들의 주요 개념들) 모세신학은 실제적으로 구약신학의 바탕이요 기초가 된다. 여호수아는 전기 예언서이다. 예언서 예언자들은 역사철학자라고 이해하고 싶다. 역사는 하나님과 인간의 삶의 장이고, 그 백성들의 관.. 신학강좌/구약신학 2014.12.11
제7강 오경신학2 제7강 오경신학2 레위기 19장, 17장, 26장 ·······“나는 여호와니라”·········. 오경신학은 바른 신앙을 가르쳐 주는 내용이다. 레위기(27); 모세 오경의 가장 핵심적인 책 - 성화의 신학 17장이 핵심으로서 레위기는 피를 뿌려 죄를 속하는 내용으로서 구약의 복음서라고.. 신학강좌/구약신학 2014.12.11
제6강 모세 오경 신학1 6강 모세 오경 신학1 문서설에 대한 신학적 정리 문서설은 종교사학파의 가설로서 오늘날 구약학계에서도 사양길에 접어들고 장례식만 남겨두고 있다. JEDP의 문서설은 벨하우젠에 와서 설립된 것이다. 그는 1883년의 「이스라엘 역사의 서설」(Prolegomena zur Geschichte Istraels)이란 논문.. 신학강좌/구약신학 2014.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