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호람은 여호사밧이 죽기 4년전부터 그의 부친과 함께 섭정을 해오다(Payne) 여호사밧이 장사되던 해인 B.C. 848년에 드디어 단독 통치자가 되었던 것이다. 이제 여호람은 그의 왕권을 강화할 수 있는 기회를 맞이하게 되었다.
) -->
여호사밧은 왕위에 오를 여호람을 제외한 여섯 아들들에게 많은 은금과 보물을 주었고 유다의 견고한 성읍들을 다스리게 했다. 우리는 여호사밧이 이러한 조치를 취한 이유를 정확히 알 수는 없으나 아마 왕위 계승 문제로 다툴 것을 염려하여 그렇게 조처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 모든 이유와...몇 사람을 칼로 죽였더라 - 여호람이 이들을 살해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그들이 여호람과 그의 아내의 우상숭배를 반대했기 때문이다(13절, Keil,Zockler). (2) 그들이 여호람의 폭군적인 행동을 경계했기 때문이다(S. Oettli). 그 이유가 무엇이었든지 간에 여호람은 그들을 그의 정적(政敵)으로 간주하였기 때문에 살해했을 것이다. 그는 여호사밧과는 달리 북 이스라엘 왕들처럼 폭군이었다.
) -->
예루살렘에서 팔 년을 치리(治理)하니라 - 팔 년은 공동 섭정을 한 것을 제한 그의 통치 기간(B.C. 848-841)을 가리킨다. 이 통치 기간은 유다에 있어서 비극 그 자체였다. 한편, 그가 무고한 자의 피를 흘리고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소비한 시간과 심한 중병으로 오년간 앓은 것을 제외하면 그의 통치 기간은 그리 긴 것이 아니었다.
) -->
이는 아합의 딸이 그 아내가 되었음이라 - 여호람은 선왕(先王)들인 아사와 여호사밧의 선한 길을 좇지 않았다. 그는 도리어 북이스라엘 왕들처럼 행했다. 그 원인으로서 역대기 저자는 여호사밧의 결혼 동맹(18:1)의 실책을 지적한다. 아합의 딸 아달랴가 여호람의 아내가 되어 그 남편에게 많은 영향력을 끼쳐 다윗 왕가를 아합 왕가와 같이 만들었던 것이다. 이처럼 여호람의 잘못된 혼인으로 말미암아 유다 왕국의 통치의 반신정 통치의 성격을 띄게 된다.
다윗의 집을 멸하기를 즐겨하지 아니하였음은 - 여호람은 여호와 보시기에 악을 행했다. 즉, 그는 유다를 우상 숭배하는 나라로 이끌어 갔다. 그럼에도 블구하고 하나님은 다윗과 세우신 언약(삼하 7:13-16) 때문에 '다윗의집' 곧 다윗 왕가를 멸하지 않겠다고 하신다. 즉, 여호람에게는 형벌을 내리시겠지만, 그 왕위는 그의 아들로 이어져다윗 왕가를 계속 존속시키겠다는 것이다. 이것이 다윗 왕조가 북이스라엘의 여러 단명한 왕조들과 다른 점이다.
항상 등불을 주겠다고 허(許)하셨음이더라 - 역대기 저자는 '등불'을 생명의 상징으로 사용한다(욥 18:6;잠 13:9;24:20). 다시 말하면 다윗의 씨는 결코 소멸되지 않는다는 것이다(삼하 7:12-17, Curtis).
) -->
여호람때에 에돔이 배반하여 - 에돔은 다윗에 의해 유다의 속국이 되었다가(삼하8:13, 14; 대상 18:11-13) 솔로몬의 통치 이후 잠시 독립을 했었던 것으로 학자들은 보고 있다(왕상 11:14 이하, Curtis). 그러나 여호사밧 때에 다시 유다의 속국이 되었다가(20:36의 에시온게벨은 에돔 땅이다) 여호람 때에 다시 유다의 지배하에서 벗어나게 되었다. 이로 보아 유다는 여호람의 악정으로 인하여 세력이 급격히 약화되었으며 대외적으로도 그 면모를 크게 잃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자기 위에 왕을 세운 고로 - 이는 에돔이 여호사밧에 의해 파견된 유다의 섭정왕(왕상 22:47)을 죽이고 그들이 스스로 왕을 세웠음을 가리킨다.
) -->
자기를 에워싼 사람과 그 병거의 장관들을 쳤더라 - 여호람은 에돔을 쳐서 다시 속국으로 삼기 위하여 출정 (出征)하였다. 그러나 그는 도리어 에돔 군사에 포위되어 사경(死境)에 몰리게 되었던 바람에 일어나서 에돔의 포위망이 약한 곳올 쳐서 가까스로 살아나게 된 것이다. 이러한 여호람의 대(對) 에돔전(戰) 실패가 에돔으로 하여금 완전한 독립을 얻도록 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 -->
그 때에 립나도 배반하여 - 립나는 블레셋 근방 유다의 남서 변방 지역에 있는 라기스에서 얼마 멀지 않은 도시이다(수 15:42;대상 6:57). 한때 이스라엘 제사장들의 도시이며 도피성(수 12:15;21:13) 중의 하나였던 이곳이 유다를 배반한 이유는 아마도 이웃에 있던 블레셋의 영향이 컸던 것으로 추측된다. 그런데 립나가 하나의 독립국이 되었는지 아니면 블레셋의 한 도시로 편입되었는지는 분명치 않다. 후에 앗수르의 산헤립이 립나를 장악한 일이 있다(왕하 19:8).
이는 저가...여호와를 벼렸음이더라 - 이것은 열왕기에 없는 역대기 저자의 독자적인 주석이다. 즉, 유다가 속국들을 잃어버리게 된 것은 여호람의 배교 때문이라는 것이다. 즉, 그는 그의 왕후 아달랴가 유입한 이방 종교를 유다에 퍼뜨렸던 것이다.
) -->
음란하듯 우상을 섬기게 하고 - 이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예젠'은 직역하면 그가... 음행케 하였다'가 된다. 이 '예젠'이라는 동사는 '음행을 하다', '간음하다'라는 뜻의 동사 '자나'의 히필형(Hiphil; 사역형 능동)으로서 영적 간음행위, 즉 우상 숭배 행위를 가리키는 데도 쓰인다. 당연히 본절에서도 이와 같은 의미로 쓰였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자신들을 여호와와 결혼한 신부들로 생각했고. 다른 이방신들을 섬기는 것은 간음 행위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미혹케 하였으므로 - 이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야다흐'는 '밀다', '강요하다', '재촉하다'라는 뜻의 동사 '나다흐'의 히필형이다. 따라서 이 동사는 누구 누구를...하게끔 하였다는 뜻을 갖는다. 즉, 이는 여호람의 종교 정책에 따른 우상 숭배의 강요를 가리킨다고 볼 수 있다.
) -->
선지자 엘리야가 여호람에게 글을 보내어 - 여기서 '엘리야'가 누구를 가리키는가에 대해서 학자들 사이에는 다른 두 입장이 주장되고있다. (1) 북이스라엘의 선지자 디셉 사람 엘리야(Grove, Keil, Payne, williamson):이들은 편지를 엘리야의 것으로보는 데는 일치한다. 그러나 그가 살아있을 때 보낸 것인지 승천 이후에 보내진 것인지에는 의견의 차이가 있다. (2) 이스라엘의 선지자 디셉 사람 엘리야가 아닌 다른 엘리야 선지자(Murphy, Curtis):이들은 그 유명한 선지자 엘리야가 편지 전달 당시에 살아있지 않았으며(왕하3:11), 그가 남왕국 유다와 아무 연관이 없다는 것을 이유로 그렇게 주장한다. 그러나 (1)의 견해를 취하는 보수주의 학자들은 다음과 같은 이유를 들어 (2)의 견해를 거부한다. 첫째로, 엘리야가 남왕국 유다와 전혀 관련이 없는 것은 아니다(왕상 19:3 이하). 둘째로, 엘리야의 승천 사건(왕하 2:11)은 여호람이 단독 통치자로 등극하고 아우들과 방백을 살해한 사건(21:4) 이후의 일이다. 그러므로 엘리야가 이 사건의 전말을 알고 편지를 보낼 수 있다. 셋째로, 열왕기하 3:11에서 엘리사에 대한 언급은 그가 단지 엘리야의 조력자였음을 말하는 것이지 엘리야가 더 이상 땅에 거하지 않았다는 것을 알고 말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엘리야의 글은 여호람의 두 가지 큰 실책에 대해 책망한 것이다. 즉, (1) 아합의 집을 좇아 우상을 숭배하며 백성으로 그 죄에 빠지도록 미혹하였다. (2) 그 아우들은 살해했다. 이 실책에 대해 여호와께서 보옹하신다는 것이다.
네 아비 여호사밧의 길과 유다 왕 아사의 길로 행치 아니하고 - 역대기에서는 여호사밧과 아사왕이 특별히 동일한 유형의 선왕(善王)으로 언급되고 있다(14:2;17:3;20:32).
) -->
아합의 집과 같이 - 이스라엘 백성들이 가나안에 정착한 후 초기에는 극히 일부에서만 바알 숭배가 행해졌으나, 북왕국 오므리 왕조패에 이르러 그것은 절정에 달하게 되었다. 특히 이세벨과 아합으로 인하여 북왕국 이스라엘에서는 바알 종교가 국교의 자리에 오를 정도로 극심하게 되었다. 그래서 본서 기자는 아합의 가문을 바알 종교의 대명사로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너보다 선한 아우들을 죽였으니 - 여호람이 그의 아우들을 죽인 것은 단지 그들의 소유가 탐나서가 아니라 그들이 그의 우상 숭배 정책에 반대했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이 사실로 그들이 선한 아우들로 평가되었을 것이다. 그리고 엘리야의 편지에 이 살륙 사건이 언급된 것으로 보아 이 편지가 여호사밧 사후에 보내졌다고 생각할 수 있다.
) -->
큰 재앙으로 치리라 - '재앙'(,막게파)은 '치명적인 타격', '전투에서 의학살', '역병'의 의미로 쓰인다. 이 재앙이 그의 백성과 그의 자녀와 아내들과 그의 모든 재물에 내려질 것이므로 온역이나 역병과 같은 의미로 쓰여졌다고 볼 수 없다. 따라서 이것은 16,17절에 기록된 블레셋의 침입에 의한 손상을 가리키고 있음이 분명하다.
) -->
그 병이 날로 중하여 창자가 빠져나오리라 - 이것은 여호람이 오랜 기간 동안 병을 앓다가 죽게 될 것을 가리킨다. 그리고 이 예언은 그대로 성취되었다(19절). 여호람은 하나님과 이스라엘 간에 맺은 시내산 언약에 충실하지 않았다. 그는 그 신정 국가의 왕으로서 백성을 언약의 하나님만 경배하고 섬기도록 가르치고 모범을 보이고 통치를 해야 했다. 그러나 그는 이방 종교를 도입하는 죄악을 범하였다. 그 결과 언약의 약속대로 그에게 저주가 임했던 것이다.
) -->
블레셋 사람...아라비아 사람 - 여호람의 부친 여호사밧에게 조공을 바쳐왔던 이 무리들이(17:11) 이제 유다를 침략하였다. 역대기서에서 이들의 존재는 주로 팔레스타인과 애굽사이의 접경 지대에 사는 유목민들로 나타나는데, 어느 때는 이스라엘 사방에서 여호와의 행하심을 목격하고 하나님을 두려워하였고(14:14;20:29), 또 어느 때는 이스라엘을 징벌하기 위한 하나님을 지팡이로 사용되기도 했다.
) -->
유다를 침노하여...탈취(奪取)하였으므로 - 이 블레셋과 아라비아 사람들이 왕궁의 모든 재물과 여호람의 아들들과 아내들을 탈취하여 갔다. 여기서 '왕궁'에 대한 해석은 두 가지가 있다. (1) 예루살렘에 있는 왕궁(Zockler,Curtis), (2)예루살렘이 아닌 다른 왕궁(Keil, Williamson). 이중 후자의 해석이 더 타당하다. 왜냐하면 첫째, 예루살렘의 왕궁과 성전의 보물이 탈취당했다는 언급이 없기 때문이며 둘째, 여호람의 아들들이 모두 살해되었기 때문이다. 이 두번째 이유는 왕자들을 견고한 성읍에 거하게 했던 당시의 관습과 연관되어진다(3절). 만일 여호람의 아들들이 예루살렘에 있었다면 침략자들에게 잡혔다 하더라도 재물을 통해 교환될 수 있었을 가능성이 많다(Williamson). 그러나 그들은 요새 성읍에 거하고 있었기 때문에 피살되고 말았을 것이다.
여호아하스 - 그는 22:1에서 '아하시야'로 불리워지고 있다. 이 두 이름은 '여호와'의 이름과 '붙들다' 라는 뜻의 동사 '아하즈'가 결합된 것으로서 두 이름의 의미는 동일하나 두 단어의 결합 순서가 뒤바뀌어진 것이다. 그리고 여호와께서 그러한 징계 가운데서도 한 아들을 남기신 것은 다윗의 집을 멸하기를 즐겨하지 아니하셨기 때문이며 다윗의 언약에 대한 하나님의 성실함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7절).
) -->
능히 고치지 못할 병 - 이는 여호람의 병이 하나님의 형벌로 인한 것이기 때문에 궁중의 의사들이 그 병의 원인도 알 수 없었을 뿐만 아니라 아무런 치료법도 통하지 않았다는 것을 암시한다.
) -->
여러 날 최후 이 년 만에 - 2년 동안의 병고(病苦)는 오히려 죽음 자체보다도 더큰 형벌로 여겨졌을 것이다. 그는 날마다 더 심해지는 병을 앓으면서 무고한 형제들을 죽인 죄의 대가를 받은 것이다.
저에게 분향하지 아니하였으며 - 백성들은 이전의 왕이 죽을 때처럼 분향하지 않았다. 그들은 여호람의 죽음에 애도조차 하지 않았다. 이것은 여호람의 악정에 대한 백성들의 공개적인 불만의 표시였다.
) -->
아끼는 자 없이 세상을 떠났으며 - 여기서 '아끼는 자 없이'란 구절을 많은 영역본과 주석 학자들이 '애도하는 자 하나 없이' 라는 뜻으로 이해한다. 여호람이 죽었을때 백성들은 분향도, 애호도 하지 않았으며 그의 시체를 열왕의 묘실에 두지도 않았다. 그 이유는 그가 언약의 나라에서 왕으로서의 정당한 역할을 전혀 행하지 못했기때문이다.
[
'구약 > 역대하(구속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대하23장,언약에 신실하신 하나님 (0) | 2015.12.10 |
---|---|
역대하22장,다윗언약때문에 (0) | 2015.12.09 |
역대하20장,위기앞에서 (0) | 2015.12.07 |
역대하19장,충의와 성심으로 (0) | 2015.12.04 |
역대하18장,참영과 거짓영 (0) | 2015.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