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쿰란 공동체와 초기 기독교 비교

쿰란 공동체와 엣세네 공동체

호리홀리 2015. 3. 11. 12:52

쿰란 공동체와  초기 기독교 비교 

I.

20세기 중엽에 발견된 사해사본과 그 발견으로 인해 세상에 알려지게 된 쿰란 공동체는 신약성서 연구에 엄청난 충격을 가져다 주었다. 그들 문서에 나타난 여러가지 사상과 생활 모습들이 신약성서에 나타난 그것들과 많은 유사점이 있었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이 바로 여기에 있다. 과연 신약성서와 초기 기독교 공동체는 쿰란으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는가? 그렇다면 두 공동체 사이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를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이미 알려져 온 엣세네 공동체와 쿰란 공동체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그 까닭은 이 두 공동체의 관계에 대해 많은 엇갈린 의견들이 난무하고 있으며, 최근에 이르러서도 이 문제는 속시원히 해결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두 공동체 사이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언급하고 잠정적인 결론을 내릴 것이다. 여기에서는 엣세네파에 대해 언급하고 있는 요세푸스, 필로, 플리니 등의 저서와 함께 쿰란 문서를 비교 인용하는 방법을 사용할 것이다.

또한 쿰란 공동체와 초기 기독교 공동체의 관계를 연구하는 데 있어서는 우선 쿰란 문서를 통해 나타난 쿰란 공동체의 성격과 함께 기독교 공동체의 성격을 비교하는 방향으로 연구를 진행시킬 것이다. 나아가서 쿰란 공동체의 사상과 세례 요한, 예수, 요한의 사상을 비교하는 동시에 쿰란 공동체의 생활과 초대교회 공동체의 생활을 비교함으로 본 연구를 맺고자 한다.

II. 쿰란 공동체와 엣세네 공동체

(1) 두 공동체 사이의 유사성

1. 유대주의에서 분리된 집단이다(핫시딤).

2. 훈련규칙을 가지고 있다.

3. 회원의 생활은 감독자의 책임하에 있다.

4. 소유를 공동으로 관리한다.

5. 가입 희망자는 일정 기간의 유예기간을 통해 정회원이 될 수 있으며, 정회원이 아닌 사람 은 공동식사에 참여할 수 없다.

6. 정결의식을 행했다.(Charles F.Pfeiffer,The Dead Sea Scrolls and the Bible,.p.94.)

7. 율법을 엄격하게 해석했으며, 높은 수준의 의(義)를 추구하였다.

8. 고대 문서, 특히 예언서에 대한 연구가 활발했다.(F.F.Bruce,{사해사본},.pp.202-205.)

(2) 두 공동체 사이의 차이점(A.D.Crown,"Qumran,Was it an Essene settlement,".p.30-31.)

1. 필로는 그의 저서에서 엣세네파에 대해 평화를 사랑하는 자들이라고 언급했다.

(Philo, Quod amnis probus liber sit, in Complete Works)

반대로 쿰란 문서에는 그들 공동체의 호전적인 성격이 드러나 있다.

그들의 손에는 창과 칼이 쥐어져있다. 그 창의 길이는 7규빗은 족히 될

것이다...그 칼은 제련과 표백을 통해 정제된 순수한 철로 만들어져 있

어서 마치 거울과 비슷하다...(1QM 5.5-16).

2. 고대 문헌에는 엣세네파가 독신으로서 여자없이 살아간다고 언급했다.

(Philo, Apologia pro Judaeis 14-17;Pliny, Natural History 5.15.73; Josephus, War 2.120

-121,160-161.)

쿰란 문서에는 비록 공동체에는 참여하지 못하지만 여자와 어린이에 대한 규율이 나타난다.

(1QSa 1.6-8;11QT 62.9-10;63.11-15)

3. 엣세네 공동체에서는 노예제도에 대해 매우 부정적이었다.

그들은 노예들을 원하지 않았다. 사실 그들은 노예 제도를 부정한 것

으로 생각하였다(Josephus, Antiquities 18.21).

쿰란 문서에서는 노예에 대해 부정적이었다는 암시가 나타나있지 않다.

(CD 11.12;12.10)

4. 엣세네 공동체는 부(富)와 더불어 그것에 현혹되는 것을 두려워했다.

(Josephus, War 2.122; Philo, Apologia pro Judaeis 4,11)

쿰란 유적에서는 그들이 소유하였던 것으로 보이는 값진 물품들이 발굴되었다.

5. 엣세네 공동체에서는 맹세하는 일이 거의 없었다고 고대 문헌들은 증언하고 있다. 이들 에게 있어서 맹세는 오직 공동체에 입회할 때 뿐이었다.

(Philo, Quod omnis probus liber sit 84; Josephus, War 2.135,139-42.)

쿰란 공동체는 매년 공동체에 대한 맹세가 있었다.

...그들은 매년 그 일을 행한다(1QS 2.19).

6. 엣세네 공동체에서는 사유 재산은 일절 금지됨은 물론 공동체에 헌납해야 했다.

(Philo, Apologia pro Judaeis 4; Quod omnis probus liber sit 86; Josephus, War 2.122)

쿰란 공동체에서는 어느 정도 사유재산을 허용하고 있었다.

(1QS 6.19; 7.6-8; CD 14.13; 6.15-17)

(3) 결 론

1. 엣세네 공동체와 쿰란 공동체는 어느 정도의 유사성과 함께 차이점을 공유하고 있다.

2. 두 공동체 사이의 연관성에 대해 극단적인 결론을 내린다는 것은 현재로서는 불가능하다.

3. 쿰란 공동체는 다른 엣세네파와 의견을 달리하는 엣세네파의 한 부분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F.F.Bruce 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