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니엘서는 이사야, 예레미야, 에스겔, 예레미야 애가 다음에, 소선지서 앞에 자리잡고 있다. 이는 칠십인역 성경의 배열 순서를 따른 것으로서, 다니엘서를 예언서로 읽고, 다니엘을 예언자로 이해하게 한다. 이와는 달리, 히브리 성경에서 다니엘서는 율법서와 예언서에 이어 셋째 부분으로 나오는 성(聖)문서에 속해 있다. 이 경우에 다니엘서는 지혜의 책으로, 다니엘은 기도와 찬송과 지혜의 인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칠십인역에는 히브리 성경의 다니엘 3장 23절과 24절 사이에 다니엘의 동무 아사랴가 불길 가운데서 부르는 찬송과 또 세 동무가 함께 부르는 찬송이 길게 68절에 걸쳐 나오고, 맨 뒤 12장 다음에는 수산나에 대한 이야기가 64절 분량으로, 또 벨과 용에 대한 이야기가 42절 분량으로 덧붙어 있다. 종교 개혁 이후, 이 부분을 기독교에서었다.
다니엘서는 다니엘과 그의 세 동무에 대한 이야기인 1-6장과 다니엘이 본 이상(異像)이나 다니엘이 한 기도에 대한 내용과 풀이가 담긴 7-12장의 둘로 크게 나눌 수 있다. 1-6장에서는 다니엘이나 그의 세 동무가 삼인칭으로 나오지만, 7-12장에서는 다니엘이 일인칭으로 등장한다. 이 두 부분에서 다니엘에게 주어진 역할을 다르다. 1-6장에서는 다니엘이 바벨론 임금들이 꾼 꿈이나 벽에 쓰인 글씨의 뜻을 풀이해 주는 인물로 나타나지만, 7-12장에서는 다니엘 자신이 직접 꿈을 꾸거나 이상을 보았지만 그 뜻을 이해하지 못하고, 그 뜻은 천사들이 풀이해 준다.
주제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다니엘서는 1장과 2-7장과 8-12장의 셋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는 다니엘서가 본디 히브리어로 씌어진 1장 2절-2장 4절 전반절 및 8-12장과 아람어로 씌어진 2장 4절 후반절-7장 28절의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사실과 맞아떨어진다.
1장은 다니엘서의 주역들을 소개하면서 다니엘서 전체의 머리말이다.
2-7장에서는 네 강대국을 무너뜨리고 들어설 하나님의 나라에 대한 본문으로 2장(‘한 큰 신상’, 31절)과 7장(‘큰 짐승 넷’, 3절)이 양쪽 끝에 있고, 그 안쪽으로 무고하게 겪는 고난을 믿음으로 이겨내는 용사들의 이야기로서 3장(‘뜨거운 풀무불 가운데서 살아 남은 세 동무’)와 6장(‘사자굴에서 살아 남은 다니엘’), 맨 안쪽에는 교만한 세상 권력자들에 대한 심판을 알려주는 4장(‘느부갓네살’)과 5장(‘벨사살’)이 대칭을 이루면서 자리잡고 있다. 2-7장에서 이방 권력자들이 이스라엘의 하나님을 인정하고 찬양하는 말이 여러 번 나온다(2:47; 3:28-29; 4:1-3,34-37; 6:26-27).
8-12장에서는 수양과 수염소의 이상을 다루는 8장이 바사 왕국과 헬라 왕궁에 대한 이상을 다루는 10장과 짝을 이루고, 11장에서는 헬라 왕국의 후예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이 펼쳐진다. 다른 한편으로, 다니엘이 70년 포로 생활에 대한 예언의 뜻을 알려고 기도하는 내용으로 시작하여 그에 대한 응답으로 나오는 풀이가 담긴 9장의 끝부분은 11장과 이어진다. 12장은 11장 마지막 부분과 관련하여 ‘마지막 때’에 대해 다룬다.
더 나아가서, 7장의 이상에 대한 풀이의 끝부분도 11장 뒷부분 및 2장과 연결된다. 이리하여 7장은 2-6장과 8-12장을 잇는 다리 구실을 한다.
첫 부분과 마지막 부분에 표시된 연대 표시에 따르면, 다니엘서는 유다 왕 여호야김 삼 년에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이 예루살렘에 쳐들어와서 성전 기구들과 더불어 다니엘을 비롯하여 유다 왕족들과 귀족들을 바벨론으로 데리고 간 때(1:1-4)를 출발점으로 하여, 바벨론 시대를 거쳐 다니엘이 바사(=페르샤) 왕 고레스 삼 년에 다니엘이 바사 시대를 넘어서서 헬라(10:20; 11:2) 시대에 대한 것도 알게 된 내용(10-12장)로 끝난다. 이는 다니엘 개인으로 보면 주전 605-537년에 해당하는 기간이고, 유다 백성의 역사에 맞추어 보면, 주전 605-160년대에 이르는 기간이다. 주전 605년은 바벨론의 느부갓네살이 당시 중동 세계의 실질적인 권력자로 떠오른 때이고, 537년은 이 바벨론이 망하고 고레스가 세계를 주름잡게 된 때이며, 160년대는 바사를 멸망시킨 헬라 왕국도 분열하여 그 가운데 수리아 지방을 다스리던 셀류시드 왕조가 이스라엘 백성을 크게 괴롭히고 있던 때였다.
느부갓네살은 하나님을 거스른 유다를 벌하도록 하나님이 쓰신 심판의 도구로 특히 예레미야서(21:1-10 등)에 잘 묘사되어 있고, 고레스는 바벨론에 사로잡혀가 살던 유다 백성을 다시 유다 땅으로 돌려보내 예루살렘 성전을 짓도록 하나님이 쓰신 인물로 특히 이사야서(44:24-45:8 등)에서 똑똑히 드러난다. 헬라(히브리말로 <야완>)라는 이름은 구약 성경에 여러 번(창10:2,4; 사66:19; 겔27:13,19; 슥9:13; 대상1:5,7; 단 8:21; 10:20; 11:2) 나오지만, 헬라 왕국과 그 후예들, 특히 안티오쿠스 에피파네스(주전 175-164년)를 비롯한 셀류시드 왕조의 오만한 통치자들에 대해서는 마카베오상하 곳곳에서 다루고 있다.
다니엘서에서 유다 왕으로는 여호야김이 유일하게 단 두 번 1장 1,2절에 나오고, 1-4장은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 때, 5장과 7-8장은 바벨론 왕 벨사살 때, 6장과 9장은 바사 왕 다리오 때, 10-12장은 바사 왕 고레스 때를 배경으로 한다. 이 가운데서 고레스가 다리오보다 먼저 살았던 왕이고, 벨사살 시대를 배경으로 삼은 5장과 7-8장 사이에 다리오 왕 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6장이 들어 있으므로, 다니엘서의 열 두 장이 실제 왕들의 연대 순서로 배열되어 있지는 않다.
그렇지만, 이런 왕들의 이름이 한편으로 다니엘서를 예언서(삼대 예언서와 몇몇 소 예언서, 또 전기예언서에 속하는 열왕기하)와, 다른 한편으로는 같은 성문서에 속하는 역사서, 곧 에스라 느헤미야와 역대상하와 이어준다.
다니엘서를 통틀어 볼 때 가장 중요한 주제는 세계 통치와 하나님의 통치가 어떻게 관련되는가 하는 문제이다. 이 땅의 정치 권력은 모두 하나님의 계획 아래 정해진 기간 안에서만 유효하고(11:27,35,36) 마침내는 하나님이 다스리시는 나라가 서리라(2:44; 7:27)는 것이 다니엘서의 기본 입장이다. 이러한 내용은 이방 권력의 다스림을 받으며 엄청난 시련을 겪고 있는, 하나님의 백성에게 큰 위로가 되고, 현실 생활이 아무리 어려워도 끝까지 희망 가운데서 믿음을 지키며 견뎌낼 힘을 준다.
세상 나라의 대표적인 경우로 2장 7장에서는 인류 역사상 잇달아 일어난 네 나라에 대해 말한다. 그 가운데서 특히 하나님 백성의 나라, 곧 하나님의 나라가 서기 전에 이 땅을 지배하고 있는 넷째 나라가 포악하고 잔인하며 하나님 백성을 엄청나게 괴롭힌다는 점을 자세히 밝힌다. 이 나라를 8장 21절과 11장 2절에서는 헬라라고 이름을 들어 밝힌다. 다니엘에서 하나님을 거스르는 못된 통치자의 나라는 헬라 왕국의 후예 가운데 하나로 수리아 팔레스타인 지방을 다스리던 셀류시드 왕조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인다.
이와 아울러, 세상 나라를 심판하실 하나님을 가리켜 ‘옛적부터 항상 계신 이(또는 자)’(7:9,13,22)라고 하고, 이 하나님으로부터 ‘인자 같은 이’가 세상에 대한 영원한 통치권을 받는다(7:13)고 하는데, 이 하나님 나라의 주인공은 또한 ‘지극히 높으신 자의 성도들(또는 성민)’(7:18,22,27)이라 불린다.
이처럼 하나님이 꿈이나 이상을 통해 알려주시는 바를 따라 세계 역사의 흐름, 특히 통치권의 변화를 제대로 ‘깨닫는 것’을 가리켜 다니엘서에서는 ‘지혜’라고 한다(2:21).
이런 지혜는 사람에게서 비롯되는 것이 아니고 하나님께 받는 것이다(2:30). 이 점은 또한 4장 8절, 9절, 18절에서는 이방 왕 느부갓네살이, 5장 11절에서는 벨사살의 태후가 다니엘을 가리켜 “그(또는 너)의 안에 거룩한 신들의 영이 있는 자”라고 부른 데서도 잘 드러난다.
이리하여, 이 지혜는 기도와 깊이 관련된다. 이방 왕이 꾼 꿈과 그 꿈의 뜻을 하나님이 알게 해 주십사고 동무들과 함께 힘을 모아 기도했고(2:18,23), 이방 왕 말고 다른 신에게 기도하면 죽임을 당한다는 왕명을 알고도 늘 하던 대로 기도했으며(6:10-11), 예루살렘의 황폐한 상태로 있는 기간이 칠십 년이라 한 예언의 뜻을 깨닫기 위해 기도했고(9:3-4), 자기에게 나타난 이상의 뜻을 알려고 세 이레 동안 금식했다(10:1-3,12).
박해에서 믿음의 사람들이 어떻게 처신해야 하는가 하는 문제에 대해서 다니엘서 1장, 3장, 6장, 11장 각각 특색 있는 해답을 준다.
1장에서는 이방 땅에 사로잡혀와 사는 상황에서도 왕궁 음식으로 자기를 더럽히지 아니하리라고 굳게 결심하고(8절) 이를 실행한 다니엘과 그의 세 동무는 하나님이 다른 동료들보다 더 나은 자리에 오르게 하셨다.
3장에서는 자기들이 섬기는 하나님이 자기들을 건져내주시지 않더라도 이방 신상에 절할 수 없다고 한 세 동무(18절)를 하나님은 천사를 보내어 지켜 주셨다.
6장에서는 ‘하나님의 율법’(5절)과 ‘메대와 바사의 규례’(8,12,15절)에 따라 함부로 바꿀 수 없는, 이방 ‘왕의 율법’(7절)의 둘이 서로 어긋날 때 - 아람말로는 5절의 ‘율법’과 8,12,15절의 ‘규례’가 같다 - 어느 것을 따를 것인가 하는 문제를 다룬다. 이럴 때 하나님을 신뢰하는 다니엘은 왕의 율법을 따를 수 없다고 했지만, 그 왕에게 그는 믿을 만한 사람이었다. 4절에서 ‘충성되어’로 옮긴 아람 낱말은 23절 끝의 ‘의뢰하다’로 옮긴 아람 낱말과 뿌리가 같다.
11장 30-35절과 12장 1-3절에서는 이방 통치자의 극심한 박해가 있을 때 하나님의 백성 가운데 배신자가 있겠지만, 끝까지 믿음을 지키는 사람들도 있으리라고 한다. 이들을 가리켜 ‘자기의 하나님을 아는 백성’(11:32), ‘백성 중 지혜로운 자’(11:33), ‘지혜 있는 자’(12:3), ‘백성 중 책에 기록된 자’(12:1), ‘많은 사람을 옳은 데로 돌아오게 한 자’(12:3)라 하는데, 이들은 목숨을 잃더라도 깨어 영생을 얻으리라(12:2)고 한다. 이들은 또한 하나님이 정해 놓으신 기한 동안에만 하나님을 거스르는 세상 권력이 힘을 떨친다는 것을 안다(11:27,29,35).
11장 35, 40절과 12장 4절, 9절의 ‘마지막 때’(그 히브리 표현을 직역하면, ‘끝의 때’)는 세상 역사의 끝을 가리키는데, 끝까지 하나님께 충성했던 사람들이 보상받는 때이다. 이와 관련하여 12장 2절에서는 죽은 자들의 부활에 대해 말한다.
다니엘과 그의 세 동무가 뛰어난 지혜자로 이방 왕궁에서 높은 자리에 오르게 된 과정을 알려주는 이야기 형식인 1장에서 예언문학이나 묵시문학의 요소를 찾아보기는 힘들다.
바벨론의 지혜자들과 경쟁하여 이들을 너끈히 물리친 지혜자 다니엘을 통해 세상 통치권의 변화에 대해 하나님의 계획을 이방 왕에게 알려주셨다는 이야기가 담긴 2장은 요셉이 애굽 왕의 꿈을 풀어주고 높은 자리에 오른 이야기가 적힌 창세기 41장을 떠올리게 한다. 여기서도 예언 문학의 요소는 찾아보기 힘들다.
믿음의 용사들이 박해를 이김으로써 하나님을 드높이게 되었다는 점을 알려주는 이야기인 3장에는 예언 문학의 요소뿐만 아니라 지혜 문학의 요소도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느부갓네살이 겪은 바를 스스로 고백하는 형식으로 된 글인 4장에서는 하늘에서 내려 온 소리가 두 번 나온다(13절, 23절). 그렇지만 이는 예언자로 부름 받은 사람이 전하는 말이 아니고, 한번은 천사가, 한번은 그냥 목소리만 들린다. 전해진 말씀의 내용은 세상 통치자의 운명에 대한 것이다. 예언서에도 이와 비슷한 내용이 있지만, 본문의 경우 예언서의 경우보다 더 자세하다. 또 말씀을 전해 받은 통치자가 이스라엘의 임금이 아니고 이방 나라 임금이며, 그 통치의 문제가 이스라엘에 대한 것이라기보다는 전세계, 온 누리에 관한 것이다. 이런 점에서 4장도 일반 예언과는 다르다.
5장에 이르러서 지혜문학의 요소가 다시 나타나지만, 이는 주로 세계통치권자가 누구인가를 아는 지혜와 상관된다. 예언 문학의 요소로는 이 땅 통치자의 흥망을 미리 알려주는 것을 들 만하다(왕상 11:29-39; 19:15-17 등 참고). 상징적인 글자와 그 풀이가 묵시문학의 요소를 이룬다.
사자굴에 던져졌으나 아무런 해를 입지 않고 살아난 다니엘의 이야기인 6장에서는 3장과 마찬가지로 지혜나 예언이나 묵시의 요소는 찾아보기 힘들다. 23절 마지막 문장에서 이를 똑똑히 밝힌다.
7장은 다니엘이 이상 가운데 네 짐승과 옛적부터 항상 계신 이와 인자 같은 이를 보고, 그 뜻을 천사가 풀어 다니엘에게 일러주는 점에서 묵시문학의 요소를 분명히 포함하고 있다. ‘보다’라는 동사가 7장에 집중적으로 쓰임으로써 한편으로는 예언자들의 환상 경험과 이어지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듣는 데서 보는 것으로 그 중심이 옮겨온 듯한 느낌을 준다.
8장은 수양과 수염소에 대한 환상 보도와 그 풀이가 들어 있는 묵시문학적 본문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그 주제가 ‘정한 때 끝’(19절), ‘마지막 때’(23절)에 관한 것이어서 지혜 문학의 요소도 품고 있다. ‘뜻’(15절), ‘깨닫게 하다’(16절), ‘깨달아 알다’(17절)이 히브리어로는 한 뿌리(<빈>)에서 나온 낱말로 이 또한 본문의 지혜문학적인 성격을 알려준다.
9장은 다니엘이 예루살렘이 겪는 재난의 기간을 알려고 기도한 바와 그 기도에 대해 천사가 말해 준 바를 적은 형식으로 되어 있다. 8장 16절에 나타났던 천사 가브리엘이 9장 21절에 다시 등장함으로써, 9장은 8장과 이어진다. 다니엘의 기도(9:4-19)를 참회의 성격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일종의 중재자의 기도로 본다면, 이는 아모스(암7:2,5), 예레미야(렘14:7-9. 참고 3:22후-25), 모세(출32:31-32; 민14:10-19)에서 찾아볼 수 있는 예언적 요소라 할 수 있다. 그런가 하면, ‘깨닫다’(2,23절), ‘가르치다’(22절), ‘생각하다’(23절), ‘총명’(22절)도 8장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동사 <빈>에서 비롯된 낱말들로 지혜문학에 잘 쓰인다. 더 나아가서 24-27절에 나오는 상징적인 표현과 숫자는 묵시문학의 전형적인 요소이다.
10-12장에서는 다니엘이 자기에게 나타난 일(10:1)을 깨달으려고 금식하자 천사가 나타나서 헬라시대에 이스라엘 백성이 겪을 일과 이스라엘 백성 가운데 일어날 일을 자세히 알려주며(11장) 다니엘이 할 일을 또 다른 천사들이 일러준다(12장). 그 가운데 10장에서 다니엘이 천사의 말을 듣고 엎드려져 말문이 막히고 천사가 다니엘의 입술을 만짐으로 다니엘이 말할 수 있게 된 것은 이사야 6장에서 볼 수 있는 이사야의 경험이나 에스겔 3장에 나오는 에스겔의 경험을 생각나게 한다. 그렇지만, 천사가 나타나서 하늘에서 벌어지는 일을 말하면서 땅의 일을 상징적인 표현과 숫자로 풀이해 주는 것은 묵시문학의 요소를 잘 드러내준다. 그리할 때 ‘깨닫다’(10: 12,14; 12:8), ‘지혜 있는 자’(11:33,35; 12:3,10), ‘작정된 기한’(11:27,29), ‘마지막 때’(11:35,40) 등의 표현은 또한 지혜문학의 요소도 암시한다.
1장이 다니엘서 전체의 서문의 역할을 한다면, 2장은 1장과 별개로 전해 내려온 본문으로 볼 수 있다. 왜냐 하면, 1장 마지막에서는 다니엘과 그의 세 동무가 이미 느부갓네살에게 크게 인정을 받아 등용된 것으로 되어 있는 것과는 달리, 2장 앞 부분에서는 느부갓네살이 아직 이들을 모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3장에서는 다니엘이 전혀 등장하지 않는 점에서 1-2장과 구별된다.
4장은 느부갓네살이 16-30절을 뺀 나머지 부분에서 일인칭으로 등장하여 지난날 자신이 ‘매우 높으신 분’에 대해 경험한 바를 자기 통치 아래 있는 모든 사람들에게 널리 알리는 간증문 비슷한 성격을 띤다. 4장은 여러 가지 점에서 2장과 견주어 볼 만 하지만, 여기서는 바벨론의 지혜자들과는 달리 다니엘이 꿈을 잘 풀이하게 되었다는 사실에는 큰 관심을 두지 않고 다니엘이 풀어 준 꿈의 내용 무엇이며 그것이 성취되자 느부갓네살이 보이는 반응이 무엇인지를 나타내려고 힘쓴다. 다니엘은 이 느부갓네살과 하나님 사이를 이어주는 존재로 나타날 뿐이다.
5장에서는 벨사살이 주인공으로 등장함으로써 1-4장과 분명히 구별된다. 또한 11-12절에서 태후가 다니엘을 벨사살에게 소개하는 내용을 보면 벨사살은 다니엘을 모르고 있었던 것으로 나타나는 점에서도 5장은 1-4장과 구별된다. 다만 태후의 말을 통해서, 또 18-21절에 나오는 다니엘의 말을 통해, 5장은 2장 및 4장과 이어진다. 벨사살은 부왕 느부갓네살이 하나님 앞에 교만하다가 어려움을 겪은 선례를 보고도 배우지 못하여 예루살렘 성전에서 빼앗아온 성전 그릇으로 술을 마시는 잘못을 저질러, 하나님께 벌을 받아 죽게 된다. 이뿐만 아니라, 5장에서 왕과 바벨론의 지혜자들이 읽어내지 못한 글씨를 다니엘이 읽고 그 뜻을 풀이해 준 것은, 2장에서 왕이 꾼 꿈을 다니엘이 알아내고 그 뜻을 풀이해 준 바와 통한다.
6장에서 다니엘이 억울하게 사자굴에 던져졌다가 살아나게 된 점에서 3장에서 다니엘의 세 동무가 억울하게 풀무불에 던져졌지만 살아나게 된 점과 통하지만, 그 사건의 주역과 계기가 다르다. 곧, 3장에서는 느부갓네살 스스로 신상을 세우고 그 앞에 엎드려 절하게 한 것이 문제의 발단이었다면, 6장에서는 느부갓네살의 신하들이 다니엘을 시기하여, 기도의 문제를 두고 왕의 칙령을 얻어내고, 이것을 근거로 다니엘을 고발했다. 다리오 왕은 처음부터 끝까지 다니엘에게 매우 호의적이었을 뿐만 아니라, 다니엘의 굳센 신앙에 대해서 이미 알고 있었다(16절).
문장의 주어가 하나님인 경우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인다. 가장 좋은 보기가 1장이다.
1장에서는 한편으로 바벨론 임금의 음식과 포도주 문제를 두고서 다니엘이 자기 뜻을 이루어내는 바를(3-16절), 다른 한편으로는 다니엘과 그의 세 친구가 다른 포로 소년들보다 더 슬기로운 자들로 바벨론 임금으로부터 인정받게 되는 바를(17-20절) 알려 준다. 그런데, 그러한 과정의 배후에 하나님이 계심을 9절(“하나님이 다니엘로 환관장에게 은혜와 긍휼을 얻게 하신지라”)과 17절(“하나님이 이 네 소년에게 지식을 얻게 하시며 모든 학문과 재주에 명철하게 하신...”)이 분명히 한다. 1장의 시대 배경을 설정해주는 2절에서도 “주께서 유다 왕 여호야김과 하나님의 전 기구 얼마를 그(=느부갓네살)의 손에 붙이시매 그가 그것을 가지고 ...”라고 함으로써, 느부갓네살의 행위는 그저 하나님이 먼저 하신 일의 결과로 이해하게 한다.
본문에 나타나는 대조법을 잘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를테면, 3장 13절에서 다니엘의 세 동무가 느부갓네살 왕의 신들을 섬기지 않고 그가 세운 금신상에 절하지 않는다고 고발한다. 이에 14-15절에서 느부갓네살이 이들을 불러 사실 여부를 묻고 금신상에 절할 기회를 다시 한번 주겠다고 하는데, 이 세 사람은 16절-18절에서 임금의 신들을 섬기지 않고 임금이 세운 금 입상에도 절하지 않으리라는 뜻을 분명히 말한다. 그런데, 14-15절에 나오는 느부갓네살의 말과 16-18절에 나오는 세 사람의 대답은 명백한 대조를 이룬다. 곧, 17절에서 ‘우리가 섬기는 우리 하나님’은 한편으로 15절후반절에서 “너희를 내 손에서 구해낼 신이 누구냐?”라는 느부갓네살의 물음에 대한 답이 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그 다음 18절에 나오는 ‘당신의 신들’과 대조가 된다. 이 ‘당신의 신들’이란 표현은 또한 이미 12절에서 고발자들이 한번 쓰기도 하였고, 14절에서는 임금 자신이 ‘내 신들’이라고 한 바와도 이어진다. 이런 식으로 여기서는 사드락과 메삭과 아벳느고라고 불리는 세 유대인이 자기들의 하나님과 느부갓네살의 신들 가운데 누구를 섬길 것인가 하는 문제 앞에서 분명한 태도를 취하고 있음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또 바벨론 지혜자들의 무능함(2:10-11; 4:7; 5:8,15)과 다니엘의 유능함(2:27-45; 4:18-19; 5:17-28)도 2장과 4장과 5장에서 크게 대조되어 나타난다.
더 나아가서, 대조법은 이방 왕들의 묘사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이방 왕의 교만함을 꺾으시는 하나님에 대해 알려주는 4장에서는 느부갓네살이 다시 권좌로 돌아오게 되지만, 5장에서 벨사살은 그러하지 못하고 죽임을 당한다.